관악저널

칼럼   특별연재(지구온난화)   환경   선거일기   의학칼럼   기고   음악칼럼   산행기행   영화칼럼   유종필의관악소리   교육특별연재   신년사
호별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컬럼
칼럼
특별연재(지구온난화)
환경
선거일기
의학칼럼
기고
음악칼럼
산행기행
영화칼럼
유종필의관악소리
교육특별연재
신년사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기사제보
컬럼 > 컬럼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동 명칭 변경’ 좀더 신중하게
기사입력  2007/03/13 [00:00] 최종편집   
<권영출 칼럼>
전통과 역사성을 지닌 동 명칭을 바꾸는 일은 신중해야
‘주민설문조사’ 다수결이 언제나 최선이 될 수 없다

유럽을 가보면 어느 나라나 자기 민족의 문화와 역사, 전통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우리보다 못 산다고 하는 중국 사람들도 이에 못지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자신들의 치부와 부끄러운 역사 현장까지라도 보존하려는 모습을 볼 때, 참된 힘의 원천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역사가 200년 밖에 안 되는 호주의 시드니 시내를 둘러보면 낡은 건물을 보존하면서 고층 건물과 고가 도로를 만드느라 애쓴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눈에는 보잘 것 없어 보이는 낡은 건물을 헐지 않고 재건축한 모습은 눈물겹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 비하면 우리는 번쩍거리는 외형과 새것에 대한 집착이 상상을 초월한다. 오래되고 낡은 것을 남겨 두는 것이 ‘수치’라고 생각하는지, 재개발에 눈이 멀어서 보이는 것이라곤 높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 뿐이다.

드디어 관악구가 3월 중에 ‘동 명칭 변경과 관련한 주민 여론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오래전부터 거론되어 오던 ‘동 명칭 변경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관악구의 20세 이상 남녀 1000명 정도를 표본으로 여론조사기관이 전화로 조사한다고 한다.

민주주의에서 가장 신봉하는 ‘다수결의 원칙’에 따르겠다는 의도인 것 같다. 그러나 관악구에 아파트가 많이 생겨나면서, 오래전부터 관악구에 살아왔던 토박이들은 점차 떠나가고 외부에서 유입된 사람들이 증가했다.

실제로, 관악갑 유기홍의원이 2006년 11월 봉천동 지역 학부모 2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초 자료를 참고해 보면, 10년 이상 거주한 주민은 45.6%에 불과하다. 즉 과반수 이상의 주민들이 관악구로 이주한지 10년 이내라는 뜻이다. 이들이 과연 신림동과 봉천동이라는 지명의 역사성과 정체성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을까?

과거 달동네라는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이름을 벗어 던지는 대가로 집값 상승을 기대하지 않을까? 조선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 금천현 편에는 ‘신림리, 봉천리, 난곡리’라는 명칭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신림이라는 이름은 관악산의 기슭이어서 숲이 무성하여 생긴 것으로 ‘웰빙’을 연상시키는 지명이다.

캐나다의 캘거리에서는 관악산 기슭과 같은 언덕 위에 주택이 최고의 주거지로 평가받고 있었다. 또한 ‘봉천동’은 관악산이 험하고 높아 마치 하늘을 받들고 있는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런 의미 깊고 역사성이 있는 이름을 헌신짝 버리듯 지우려는 의도 속에는 열등감 숨어있다고 본다. 마치 가난하게 살던 사람이 돈을 벌었다고, 호화로운 치장으로 과거를 덮으려는 것과 비슷하다. 진정한 가치는 내면의 변화와 성숙을 동반할 때 바뀔 수 있는 것이다.

행정자치부에서도 무분별한 명칭변경을 막기 위해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첫째, 역사적 전통과 문화의 계승 등으로 명칭 변경의 필요성이 있는 지역, 예를 들면 일제 강점 하에 바뀌었다가 원래대로 회복하는 경우이다. 둘째, 현행 명칭의 어감이 심히 좋지 않거나 혐오감을 주는 경우 명칭인 경우인데, ‘달서구 파산동’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되었다. 셋째, 행정구역 변경 등으로 현행 명칭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부득불 혼란과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바꾸는 경우, 마지막으로 기타 특별한 사유로 인해 명칭을 변경하지 않으면 행정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이다.

관악구의 경우, 위에 4가지 기준 중에 뚜렷하게 대입할 근거가 빈약하다. 단순히 어감이 좋지 않다든가, 이미지가 나쁘다는 주장은 너무 근시안적이고 편협된 사고라고 볼 수밖에 없다. 경제적인 면에서 생각해 보더라도, 모든 공공 문서와 서류에 이름을 바꾸기 위해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이 엄청날 것이다. 도대체 이름을 바꾸어서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불확실한 효과를 위해, 이렇게 행정낭비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신흥 중산층의 여론과 표를 의식해서 전통과 역사성을 지닌 동 명칭을 바꾸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다수결이 언제나 최선이 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조금만 기다리면 관악구는 웰빙과 교육의 신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 그때까지 조금 기다려 보자고 주장하고 싶다.



ⓒ 관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미투데이 미투데이 페이스북 페이스북 요즘 요즘 공감 공감 카카오톡 카카오톡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주간베스트 TOP10
  개인정보취급방침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44길 35 대표전화 : 02-889-4404ㅣ 팩스 : 02-889-5614
Copyright ⓒ 2013 관악저널.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linuxwave.net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