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민단체 주관 후보자 초청 토론회 불참에 대한 유감
전라일보는 3월 31일자 기획 기사에서, ‘정권심판론이 일으킨 민주당 후보들의 자만심’이란 제목으로 선거 때마다 불거지는 ‘고질적 토론회 불참’에 대해 지적했다. 워낙 정당 지지도가 높다 보니, 굳이 토론회에 참석해서 자신을 알릴 절박감이 느끼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다 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후보자에 대한 도민의 알권리가 제한받는다는 우려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런 현상은 주로 지지도가 높게 나타나는 후보일수록 두드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결국 ‘공천=당선’이 가능한 지역일수록 심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미 미래의 투표 결과를 각 정당과 후보가 예측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투표는 해보나 마나’라는 허탈감을 갖게 하거나, 유권자들의 심판이란 ‘껍데기 권리’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 나온다’는 헌법의 정신을 정면으로 비웃는 것이다. 투표의 결과는 개표가 완료될 때까지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박감을 주어야, 후보자들이 유권자의 목소리와 비판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관악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해서 참 아쉬움을 금할 수 없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언론단체 연합회, 관악발전협의회(이하 관발협) 주관 등 여러 시민단체가 오래전부터 준비한 ‘후보자초청 토론회’가 무산되거나 파행으로 진행되었다.
만약 이런 현상이 전라일보의 기사처럼, 그런 이유라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관발협에 따르면, 이미 관악갑과 관악을 후보자들은 3월에 구두로 ‘후보자초청토론회’에 참석하기로 약속했다고 한다. 관발협관계자는 토론장소 섭외와 패널 섭외 등 엄청난 고생을 하면서, 철저하게 준비한 토론회가 무산된 것을 아쉬워하고 있다.
참으로 기이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후보자라면, 유권자들을 만나는 일을 가장 최우선 과제라고 여기는데, 수백명의 유권자가 참석할 예정인 시민단체의 후보자토론회에 불참을 통보했다고 한다. 어떤 이유에서든 약속은 약속이며, 그것을 기다리고 있던 주민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본다. 토론회가 중요한 이유는 일방적 공약 발표가 아니라, 묻고 질문하면서 유권자의 알권리를 해소시켜 주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이런 검증조차 없이 어떻게 우수한 주민의 대표를 뽑을 수 있을지 염려가 된다.
|